3. 음향 7

[교회음향] 예배팀 음향 체크리스트2

예배 후 점수를 메겨보라.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습관이 될것이다. 예배 전 사운드체크 전 라인체크를 하였는가? 충분한 사운드체크를 하였는가? 콘티/예배순서를 미리 확인 하였는가?(없다면 직접 확인하여 만들었는가?) 적절한 모니터를 제공하여 연주에 불편함이 없었는가? 동시에 성도들이 큰 음압으로 인해 불편하지는 않았는가? 홀의 곳곳을 돌아다니며 사운드를 확인 하였는가? 예배인도자, 설교자와 예배 진행사항을 확인 하였는가? 녹음 디바이스를 충분히 확인 하였는가? 무선채널의 배터리를 확인 하였는가? 곡의 느낌과 분위기에 어울리게 믹스 하였는가? 무대위 주의시킬부분에 테이핑하여 표기 하였는가? 예배 중 (회중으로인해 홀사운드가 바뀌었다면) 첫곡이 시작한 후 EQ/레벨을 적절히 재조정 하였는가? 피드백은 ..

3. 음향 2021.04.10

[교회음향] 예배팀 음향 체크리스트

예배 전 주중에 예배팀과 미리미리 소통합니다. 단지 콘티 외에도 예배 진행상 특이사항이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사전에 콘티를 받으면 멜론이나 유튜브를 통해 곡 특성을 파악합니다. 팀원과 협의할 사항, 악기나 음향장비에 대한 이슈에 대해서 수정, 확정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세요. 혹시 지난주 사과할 행동을 하지는 않았는지 생각해보세요. 예배 당일 미리가서 셋업을 준비하세요. 제 시간에 가면 늦습니다. 연주자들이 문을열고 들어올때는 이미 준비가 끝나있어야 합니다. 혹시 마이크를 추가 해야하는것은 없는지, 멤버중 누군가 아파서 못오지는 않았는지 등 셋업이 끝난 후(셋업전이면 더좋고) 예배인도자와 짧은 대화를 나누세요. 그 후 연주자와도 꼭 이야기를 나누세요. 주중 연습 중 악기에 이상이 생겼을수도 있고... 목..

3. 음향 2021.04.10

[Marshall Acton ll] 스피커 메뉴얼 보는법 Bluetooth Speaker

한번들으면 쳐다보게 만드는 사운드. Acton ll의 스펙에 대해서 알아보자. 1. Stereo Loudspeaker with Bass Reflex System 베이스 리플렉스 시스템을 사용한 스테레오 스피커 A는 스피커에서 소리를 나게해주는 부품인 드라이버이다. 드라이버는 앞뒤 모두에서 소리가난다. A그림에서 설명하는것처럼 스피커 통(인크로져, 캐비넷)으로 감싸져 있지않으면 앞, 뒤에서 나는소리가 서로 상쇄되어 소리가 왜곡되어 매우 이상하게 들리게된다. 그래서 B와같이 통안에 넣어 사용하게 되었다. 여기서 스피커의 효율을 향상시키기위해(더 큰소리를 얻기위해) 드라이버의 뒤에서 나는소리도 사용하게 되었다. 스피커에 구멍을 하나 뚫어서(C그림의 Vent라고 보이는것처럼), 스피커의 구멍 포트(Vent, P..

3. 음향 2021.04.04

DPA Mic University - 마이크 스펙 읽는 법

마이크의 스펙을 읽을 때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 대부분 다른 기준에 의해서 측정되기 때문이다. 이 글을 통해 스펙을 보는 시각을 기르길 바란다. 스펙으로 알 수 없는 것 마이크의 성능을 기재할 때, 소리에 대한 모든 것을 기재할 수는 없다. 객관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명시할 수 있지만, 주관적 사실에 대해서는 명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주파수응답으로 예를 들면, 마이크가 소리를 받아들였을때 어떻게 반응하는지 사인곡선으로는 표현할 수 있지만, 소리가 얼마나 선명하고 따뜻한지와 같은 느낌은 전달할 수 없다. 데시벨 마이크의 스펙은 dB scale이 기본이다. dB 스케일은 로그에 대한 것인데, 다시 말하면 인간의 귀가 음압의 변화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표로 환산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음압의 ..

3. 음향 2018.01.18

믹싱시 고려할 5가지 팁

1. 톤에 집중하라 좋은믹스의 기준은 곡안의 모든 요소가 얼마나 선명하게 들리느냐입니다. 보통 EQ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보컬이 더 돋보이게 할 수도 있고 잘 섞여서 악기와 잘 어우러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원치 않는 주파수를 깎을 때, 가령 보컬의 웅웅대는 소리나 베이스와 피아노가 함께 연주될 때 피아노의 베이스를 깎는 등의 상황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EQ를 잘 사용하면 악기나 보컬의 적절한 음역대에 위치시키고 이는 믹스의 명료도를 높입니다. 2. 트랙을 정리하라 연주되지 않고 있는 트랙은 삭제하여 믹스를 선명하게 합니다. 특히 라이브녹음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드럼에서 소리 없는 부분의 탐 트랙을 정리하여 드럼사운드를 선명하게 한다든지 또한 리드보컬이 솔로중일때 백킹보..

3. 음향 2018.01.18

먹먹한 소리 선명하게 만들어보자

고음을 키운다. 1~4kHz(시원한느낌), 3~4kHz(쏴한느낌), 7~8kHz(샤한느낌) 웅웅대는 저음을 줄인다. 100~120Hz 옹옹대는 저음을 줄인다. 120~180Hz 홍홍대는 곳을 줄인다. 350~500Hz 모니터 볼륨을 키워준다. (볼륨이 작으면 멀게들리고 옆사람보다 내가 작으면 먹먹하다고 느끼기도함.) 마이크를 가까이 써주세요. 라고한다. (with 샤방샤방한 미소) 마이크의 헤드를 감싸 쥐지 말아주세요. 라고한다. (with 샤방샤방한 미소) 마이크를 교체해본다. ㅡ 여기서 EQ를 키우고 줄일때 10dB씩 움직이는분은 설마 없겠죠? 아날로그믹서는 1.5dB정도, 디지털믹서는 3~5dB정도를 추천. 이렇게 했는데 개선이 안되면 그 문제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

3. 음향 2018.01.07

피드백(하울링) 잡는법

마이크를 스피커에 가까이 댔든지. 무대위 진행자가 물병을 집으면서 마이크를 스피커 가까이 댔든지. 선명하게 하려고 고음을 많이 올렸든지. 마이크 헤드를 감싸쥐었든지. 모니터스피커에 모니터를 너무 많이 넣어주었든지. 무대위에 쓰는 마이크의 수가 너무 많든지. 청중석에 진행마이크가 메인스피커를 앞을 지났든지. 특정 모니터스피커에서 문제의 모니터를 줄였는데도 피드백이 줄지않는다면 다른 근처 모니터 스피커이든지. 모니터튜닝을 애초에 덜 했든지.

3. 음향 2018.01.07